미국·영국·일본의 불법촬영물 관련 법률, 우리와 어떻게 다른가?

2020.07.16 17:58:42

첨부 : 외국입법 동향과 분석 49호 불법촬영영상물 규제에 대한 해외 입법례와 시사점

* 국회입범조사처(처장 김하중)는 「불법촬영물 규제에 대한 해외 입법례와 시사점」을 주제로 『외국입법 동향과

  분석』보고서를 2020년 7월 15일(수)에 발간함

 

* 연방법률에서 불법촬영행위를 처벌하고 있음

 - 보호 공간 또는 공중에 노출되지 않는 특정 신체를 동의 없이 촬영한 경우 형사처벌함

 - 동의없이 불법촬영물을 유포하는 행위는 연방법이 아닌 주법으로 처벌하고 있으며, 다수의 주가 해당 규정을

   도입하였음

 

* 영국은 법률에서 불법촬영행위 및 불법촬영물 유포행위를 처벌하고 있음

 - 사생활 보호 공간 또는 공중에 노출되지 않는 특정 신체 및 성적 행위를 동의 없이 촬영한 경우 형사처벌함

 - 불법촬영물을  동의 없이 유포하는 경우 형사처벌함

 

* 일본은 법률에서 불법촬영물 유포행위를 처벌하고 있음 

 - 불법촬영행위는 법률이 아닌, 조례에 근거하여 처벌하고 있음

 - 제3자 제공에 동의하지 않은 특정 신체나 성적 행위 촬영물을 촬영대상자를 특정하는 방식으로 동의 없이

   유포하는 행위는 형사처벌함

 - 합법적 절차에 따라 인터넷 플랫폼이 불법촬영물을 삭제한 경우 민사상 책임이 면제됨

 

* 국내법상 불법촬영물의 대상과 기준을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음

 - 미국.영국·일본의 경우 불법촬영물의 대상과 기준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으나, 국내법의 경우

   추상적이고 불명확하게 규정하여 위법성에 대한 예측이 어려움

 - 국내법에서 불법촬영물에 대한 형사처벌 대상을 촬영자·유포자 외에 소지자·시청자, 플랫폼으로까지 확대했

   다는 점에서 불법촬영물의 위법성 요건을 보다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음.

 

[뉴스출처 : 국회]

임규수 기자 sel@tgnews.co.kr
Copyright @2019 [TGN 땡큐굿뉴스] Corp. All rights reserved.

본사 ㅣ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248번길 7-3 다꿈비즈니스센터 315호 땡큐굿뉴스 등록번호 경기도 아52237. 등록일 2019년 06월 26일 .창간 : 7월 4일 SINCE 1989 (주식회사 경진) 발행인 : 휴먼태크(주) 대표 이경진 | 편집인 : 이경진 T 010 4207 8000 Copyright @2019 [TGN 땡큐굿뉴스] Corp. All rights reserved.